mobile background

Home  >  Culture  >  christian culture


기독교문화관

한국 기독교문화의 부재


19세기 후반 기독교 선교사들은 조선인의 ‘삶’을 변화시켜 나갔습니다.  평등사상, 교육, 치료, 음악, 한글(번역)의 발전까지. 하지만 그로부터 1세기가 훨씬 지난 현재는 어떻습니까? 기독교인으로부터 출발하여 비기독교인의 일상에서 용인되고 나아가 영향을 끼치는, 포용적이면서도 독특한 기독교문화가 우리나라에 형성되어 있느냐는 질문을 던지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습니다.


부재의 원인


이경직 교수(백석대학교)는 기독교계가 ‘기독교문화콘텐츠 작업’을 등한히 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기독교문화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문화학자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가 정의한 것처럼, 지적▪심미적 활동이 낳은 산물과 상징체계가 누적되어 특정한 생활양식이 나타나고 이 모든 과정을 문화라고 부릅니다. 한국의 교회들은 문화 자체를 배척의 대상으로만 대하다가 기독교만이 줄 수 있는 구원과 용서와 사랑의 메시지를 어떻게 문화화할지 연구하지 않았습니다.



기독교문화콘텐츠의 필요


기독교문화콘텐츠는 ‘인간이 누려야 할 보편적인 감동과 즐거움, 아름다움을 제공하면서, 인격을 파괴하고 왜곡하는 현대 문화에 대응하여 예수가 선포한 자유를 전달함으로써 삶의 본질을 성찰하게 하는 콘텐츠’로 정의됩니다. 과학의 발전과 고도화로 인간성 상실의 위기에 처한 현대인과 기독교가 만날 수 있는 길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 보편적 이성과 배려하는 감성을 갖춘 문화콘텐츠에 있습니다. 성과 속의 이분법에 머무르지 않으셨던 예수의 정신과 사역을 따라갈 때 기독교문화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문화콘텐츠의 구조


기독교문화콘텐츠는 그 본질상 오감을 자극하고 중독될 정도의 강력한 시각물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대중이 신에 대한 물음에 직면할 수 있도록, 깊이 있는 메세지 연구가 중요합니다. 주제에 담긴 관점이 명확하기 위해서 기획생산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교육과 관리가 있어야 합니다. 기독교문화콘텐츠는 메세지의 목적과 수용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교회문화콘텐츠’와 ‘기독교대중문화콘텐츠’로 나뉩니다.


기독교문화콘텐츠 생산자, 

팻머스

팻머스는 1차(창작) 2차(제작 마케팅) 3차(배급,유통)생산을 모두 하는 기독교문화콘텐츠기업입니다. 뉴미디어 시대의 기독교문화콘텐츠 모델을 끊임없이 모색하며,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2005년부터 끊임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더욱 질 높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교회와 사회에 이바지하겠습니다.



.......

참고 

•“교회학교 부흥을 위한 기독교문화콘텐츠 활용방안” , 선양욱(2012)

•“기독교문화콘텐츠 활성화 전략“, 최선(2021)